자유인의 아름다운 세상
신세대의 결혼 풍속도 본문
사돈총각의 결혼식이 있었다. 2년 전 지인의 소개로 만나 첫눈에 '바로 이 사람'이라는 느낌이 들었다고 한다. 그런 걸 보면 인연이란 게 따로 있기는 한 모양이다. 아무리 중간에서 다리를 놓아주려고 해도 안 되는 사람은 안 되니까 말이다. 나도 비교적 일찍 아이들을 출가시켰지만, 사돈댁도 딸에 이어 아들까지 혼사를 마쳤으니 부모로서 가장 큰 숙제를 마친 셈이다. 오늘날에는 결혼 연령이 전반적으로 늦어졌을뿐더러, 안 하거나 못하는 경우도 많다. 게다가 잘해야 둘 중 한 명만 보낸 경우가 태반이다. 부모의 나이가 일흔, 여든을 넘어가는데도 자식이 결혼을 안 하고 있으면 시름은 갈수록 커질 수밖에.
과거와 비교하면 오늘날의 결혼 풍습은 꽤 많이 변했다.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청첩장에 계좌번호를 기재하는 일은 있을 수가 없었다. 그러면 '염불에는 관심이 없고 잿밥에만 눈이 어두운 장사꾼'이라거나, '자식 팔아 장사한다'는 비아냥까지 들었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기별을 받았음에도 못 갈 사정이 생기면 지인 편에 대신 축의금 전달을 부탁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지금은 계좌 이체가 지극히 당연하고도 자연스러운 문화가 되었다. 그걸 두고 아무도 욕하지 않는다.
예전에는 자식들이 주인공이었음에도 결혼식을 주도하는 주체는 언제나 부모였다. 예식장 예약을 비롯한 모든 절차를 어른들이 맡아서 했다. 오늘날엔 모든 게 결혼 당사자들의 몫이 되어 부모로서 특별히 해야 할 역할이 없어졌다. 그저 예식에 참석해 하객 앞에서 존재만을 확인해 주고, 경제적인 부분만 조금 도와주면 그만이다. 축사를 한다거나, 그동안 갈고닦은 색소폰 연주 실력을 자랑하고 싶더라도 자식들의 허락을 받아야 한다. 당연히 할 수 있을 거라는 생각에 제안을 했다가 일언지하에 거절을 당한 뒤 '말할 수 없는 괘씸함'을 느끼는 경우도 심심찮게 발생한다.
그중에서도 가장 크게 달라진 풍습이 있다면 '초대장 전달식'이라는 것이 새롭게 생겨났다는 점이다. 과거에는 대부분 우편으로 보내거나, 서로 볼 기회가 있으면 만나서 단순히 전달만 하면 그만이었다. 요즘에는 결혼 당사자가 친구들을 따로 불러 '정중하게' 초대장을 전달하는 자리를 만들어야 한다. 그것도 한 번에 끝나는 게 아니고 관계가 서로 다르니 그룹별로 일일이 나누어 마련해야 한다. 밥을 먹고 술을 마시는 비용은 모두 주최자의 몫이다. 물론 모든 관계에 다 적용된다기보다 주로 가까운 친구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문화다. 내 아이들이 결혼할 때 그런 모습을 옆에서 지켜보고는 '결혼식도 하기 전에 살림 거덜 나겠다'라는 얘기까지 할 정도였다.
그런 걸 보면 한 사회의 문화란 때로는 있던 것들이 사라지기도 하고, 없던 것들이 어느 날 새롭게 생겨나기도 한다.
'글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장 바람직한 결혼 (4) | 2024.11.25 |
---|---|
그들은 무얼 먹고 살까? (20) | 2024.11.23 |
초대받지 않은 손님 (4) | 2024.11.21 |
파국을 부르는 주사酒邪 (4) | 2024.11.19 |
고마해라 ~ 마이 들었다 아이가 ~ (4) | 2024.11.18 |